
기본 자료형을 위한 클래스
- 매개변수가 객체거나 반환값이 객체인 경우 기본자료형을 객체형으로 사용
- 기본 자료을 감싼 클래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
기본형 |
Wrapper |
|
boolean |
Boolean |
|
byte |
Byte |
|
char |
Character |
|
short |
Short |
|
int |
Integer |
|
long |
Long |
|
float |
Float |
|
double |
Double |
wrapper 클래스는 평소에는 사용할 일이 없지만, 변수 선언이 아닌 map, list에서 형식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기본형이 아닌 wrapper클래스로 써줘야 한다. 또한, 각 기본형으로 변환하는 메소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 클래스로 메소드에 접근해서 사용하게 된다. 하여 자료형 변환 시 자주 보게 되는 형태이다.
ㅁ Integer 클래스
- Integer인스턴스명.intValue( ) : Integer 클래스내부 int 값을 가져오는 메소드
- Integer.parseInt("숫자") : 문자열로 형변환 된 숫자를 반환하는 메소드
ㅁ 오토박싱과 언박싱
- 오토박싱(autoboxing) : 기본형을 객체형으로 바꾸는 것
- 언박싱(unboxing) : 객체형을 기본형으로 꺼내는 것
반응형
'Java | spring > Java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제네릭 정의와 필요성 (+ArrayList 타입 오류 이유) (0) | 2019.05.07 |
|---|---|
| 배열과 컬렉션프레임워크(List, set, map)의 차이 (0) | 2019.05.07 |
| JAVA 기본 클래스(Object, toString, equals 등) (0) | 2019.05.07 |
| java String 기본 메소드 활용 예제 (0) | 2019.05.07 |
| call by value 값호출 VS 참조 호출 call by reference (0) | 2019.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