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 spring71

필터 기반으로 동작하는 Spring Security & 필터 종류 스프링 시큐리티는 필터 기반으로 동작한다. 하여 스프링 시큐리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필터(Filter) 란 무엇인가? 필터는 요청과 응답을 걸려서 정제하는 역할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request/response에 대해 최초,최종 단계에 존재 사용되는 용도 : 로깅 용도, 인증, 권한 체크 등 ex) 들어온 요청이 DispatcherServlet에 전달되기 전에 헤더를 검사해 인증 토큰 여부, 변조 검사 등을 함 여러개의 필터가 모여서 하나의 체인(chain)을 형성 할 수 있음 filterchain 사용 코드 public void doFilter(ServletRequest request, ServletResponse response, FilterChain chain).. 2023. 10. 2.
Spring Security 기본 개념 및 세팅 (+ please sing in 로그인 방법) 이 글을 이해한다면 스프링 시큐리시의 간단한 개념과 아래와 같은 형태의 세팅 방법에 대해 알 수 있다! URL 별로 접근 권한 처리를 하고 싶은 경우 로그인한 사용자와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지정한 리소스만 접근 가능하도록 세팅하고 싶은 경우 Spring Security란? Spring Security is a powerful and highly customizable authentication and access-control framework. It is the de-facto standard for securing Spring-based applications. Spring Security is a framework that focuses on providing both authenticati.. 2023. 10. 1.
JPA 사용 하는 이유는? (+ ORM 과 SQL mapper 비교) 일반적인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이 종료 되더라도 실행 중에 작성하거나 생성한 데이터가 이후에 재실행 후 접근 시 동일한 데이터를 바라봐야 한다. 예를 들어 하루 종일 게임을 해서 레벨을 올렸는데, 다음 날 재 접속 했더니 레벨이 다시 초기화 된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데이터를 생성한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더라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고 저장되는 데이터의 속성. 이 개념을 영속성(Persistence)이라고 한다. Persistence layer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이 된다. JDBC 이용하여 영속성 계층 구현 Persistence Framework(영속성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구현 SLQ mapper ORM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의 흐름은 아래와 같이 변화되어 왔다. 기존 기술의 불.. 2022. 10. 17.
JPA Entity & 영속성 컨텍스트 & 라이프 사이클 알아보자! JPA는 사용하기 전에 알아야 할 개념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기본적인 개념인 Entity / 영속성 컨텍스트 / 라이프 사이클에 대해 알아보자. JPA Entity 테이블과 대응하는 하나의 클래스 Entity 4가지 상태 : 비영속, 영속, 준영속, 삭제 Entity 예시 코드 @Entity : 엔티티 클래스에 설정, 필수값 @Table : 엔티티와 매핑할 테이블명 지정 @Id : 식별자 속성에 설정, 필수값 @Coulumn : 매핑할 테이블의 컬럼, 제약조건, 필드면 다른 경우 name 지정 가능 @Entity @Table(name = "user") public class User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 2022. 10. 14.
JPA란 무엇인가? Mybatis와 차이점 (+기초 무료 인강 추천) JAVA/Spring을 공부하거나 사용한 개발자라면 JPA를 사용해 보거나,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요새 많은 곳에서 사용하는 기술 중 하나이다. 레거시 서비스가 아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라면 개발을 할 때 JPA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JPA란 무엇인지, 기존에 쓰던 Mybatis와 비교하면 알아보자. JPA(Java Persistence API)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 자바 객체와 DB 데이터 간의 매핑을 처리하기 위한 ORM(Object-Relational Mapping) 표준 자바 ORM 기술에 대한 API 표준 명세(인터페이스를 모아 둔 것!) 위의 이야기만 보면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 없지만, 자바로 DB에서 데이터를 조회, 수정, 삭제, 추가를 할 때 사용하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면.. 2022. 10. 14.
스프링 트랜잭션 @Transactional 개념 (+주요 설정값) 스프링에서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Transaction 어노테이션을 추가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DB에서 데이터를 조회, 추가, 수정, 삭제 등을 하는 경우 메소드 상단에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을 붙인다. 보통은 그정도로만 사용해서 상세하게 트랜잭션에 대해 공부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실무에서도 프로젝트에서도 일반적으로 트랜잭션 설정값을 거의 안쓰거나, 보통은 설정값으로 readOnly 정도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대용량 동기화, 배치 등을 진행 할때 트랜잭션 관련 설정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럼 관련된 설정이나 설명을 봐도 명확하게 이해가 되지 않기도 한다. 또한, 개발자 기술 면접에서도 아래와 같이 질문 하는 경우도 다수 있다. 나도 면접 시에 답변을 한 적이 몇번 있다. 트랜잭션 .. 2021. 6. 4.
알아도 어려운 트랜잭션 개념정리 트랜잭션은 백엔드 개발자라면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하는 개념이다. 간단한 서비스만 개발한다면 덜 중요하게 느껴지기도 하겠지만 복잡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을 하다보면 중요성을 느끼게 된다. 대용량 데이터 동기화 등을 처리하다 보면 트랙잭션을 어떻게 처리 하느냐에 따라 데이터의 정합성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단건이 아닌 여러건의 배치를 진행하다 보면 트랜잭션으로 인해 단건(나는 각 처리 단위별로 롤백되게 하고자 했었음)이 아닌 전체가 롤백되어 서비스 오픈 전 테스트를 하다 놀란적이 있기도 했다. 이 때 관련 설정을 보고 다양한 테스트를 하면서 내용을 배우기도 했다. 참고로 정보처리기사 등 자격증을 준비하다보면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문제로 나오는 개념이기도 하다. 문제를 풀다보면 가끔 헷갈려서 잘못된 답을 .. 2021. 6. 4.
Optional 제대로 알기, 면접 대비! (+간단 실무 코드 예시)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null 처리를 필수적으로 하게 된다. 기존에는 null 체크를 해서 Null이 아닌 경우 뒤의 로직으로 넘어가게 분기처리를 하는 형태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null을 처리하기 위해 자바 8 이후 부터는 옵셔널 Optional을 사용한다. 옵셔널을 상세하게는 아니여도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면서 이런식으로 쓴다고는 알고는 있지만, 남에게 설명할 정도는 아니라면 면접 대비를 한다 생각하고, 옵셔널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신입 개발자가 optional을 제대로 쓰고 알고 있다면 괜찮아 보인다는 선임의 이야기가 있었다. (뭐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나도 이 기회에 제대로 알아봐야지 참고로 Optiona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바 버전 8 이상을 사용하고 있어야 한다. .. 2021. 6. 3.
Mac java 여러 버전 설치 맥에 여러 프로젝트를 실행하다 보면 해당 프로젝트에 맞는 java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 아래와 같은 순서로 기존 설치된 자바 버전 이외에도 다른 버전을 설치 할 수 있다. 오늘은 brew를 이용해서 설치를 해보자. brew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명령어를 활용하여 설치하자.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macOS용 패키지관리자 Homebrew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 들어가 봐도 좋다. https://brew.sh/index_ko 저장소 연결하는 명령어 brew tap adoptopenjdk/openjdk ~ master* ❯ brew t.. 2021. 5. 26.
반응형